봄을 기다리는 소년
●
박노수
전시기간 : 2010.03.17 - 2010.04.18
전시장소 : 덕수궁미술관(02-2022-0600)
관 람 료 : 성인 5,000원, 청소년 2,500원(덕수궁입장료포함)
작품 ‘류하’
"꿈을 좋아하던 소년시절은 영 가버렸는데도 봄을 맞이하려면 반드시 되살아오는 소년의 마음... 봄을 기다리며 초조해하는 나의 가슴은 신비스런 오색의 꿈으로 찬란하다."
― 박노수, ‘기다려지는 마음’, <민족일보> 1961.2.13
이번 전시는 박노수(1927- )의 전체 화업을 살펴보는 회고전이다. 선명하고 투명한 색채, 선과 여백의 미를 통해 한국화의 독자적인 경지를 개척한 박노수의 작품세계를 살펴봄으로써 한국미술사 속에서 그 위치와 의미를 조명해보고자 한다.
전시의 부제는 '봄을 기다리는 소년'이다. '소년'은 작품의 주요 소재로써 절개 있는 선비처럼, 고고한 이상을 가진 존재로 작가의 감정이입의 대상이라 할 수 있다. '봄'은 희망에 대한 기대를 의미할 뿐 아니라 작품의 맑고 순결한 정신세계를 상징하는 것이기도 하다. 뭔가 상념에 젖어있는 소년의 모습은 현실의 한 순간에 몰입해 있는 것 같기도 하고 다가올 미래를 꿈꾸고 있는 듯하기도 하다.
작품의 소재는 지극히 한정적이다. 말, 노루, 소년, 선비, 달, 나무, 산, 강 등이며 주로 바위나 작은 언덕, 산이 화면의 중심을 차지하고 초연히 인물 하나가 피리를 불고 있거나 나무 아래에서 흘러가는 강을 하염없이 바라보고 있는 등 이들 소재는 작가에 의해 창조된 작가 자신의 것이다. 이러한 소재들을 선택한 것은 그 소재 자체가 중요하다기보다 작가의 심상을 표현하기 위한 방법이다. 예를 들어 소년, 고사(高士)로 표현되는 소재들은 봄을 기다리는 외로움과 고독함, 쓸쓸함을 표상하는 소재이기도 한 것이다. 작품에서의 인물의 시선은 관객을 화면 속 너머의 무한한 공간으로 이끌고 있다. 세속을 떠나 자연에 귀의하고자 했던 작가의 현실 상황과 비교해 볼 수 있으며 고독하지만 당당하게 인생을 살아가고자 했던 작가의 삶의 태도와도 무관하지 않다.
"말은 달리는 것이지 나는 것이 아니다. 그런데 나는 비마도(飛馬圖)를 즐겨 그린다. 화면의 말은 실재의 말이라기보다는 작가의 흉중의 말이다." "삶을 영위하는 것은 힘이다. 그림도 생동하는 기운을 갖자면 힘이 있어야 한다.... 그래서 서나 화에서는 필세를 중히 여겼다. 세(勢)란 곧 움직임의 지속을 뜻하는 것이다.... 이것은 말 자체의 힘을 보이고자 한 것이 아니고... 어디까지나 그림에 불어넣고 싶은 정신적인 생명감 때문이다." 작가는 관찰을 바탕으로 말을 그리기 시작했으나 곧 대상을 변형, 재구성하여 자신의 심상(心象) 속의 대상을 그려 나감으로써 관념적인 회화를 제작했다.
박노수는 1945년 이상범의 제자로 입문하여 해방이 된 후 설립된 서울대학교 제1회화과에 1946년에 입학한 해방 후 1세대이다. 김용준, 장우성 등으로부터 미술이론과 실기를 배웠으며 같은 세대로는 권영우, 서세옥, 장운상, 박세원 등이 있다. 박노수는 졸업 후 대한민국미술전람회(이하 국전)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한다. 제2회 1953년에 국무총리상, 제3회 1954년에 특선, 제4회 1955년에 대통령상, 제5회 1956년 특선 이렇게 연 4회 특선을 받게 됨으로써, 해방 후 1세대로서 첫 번째 국전 추천위원이 되었으며 수묵채색화로서는 국전 최초로 대통령상을 수상하게 된 것이었다. 1962년에는 한국화 단체인 청토회를 결성하여 개성적 표현을 추구하였으며, 이화여자대학교(1956-62)와 서울대학교(1962-82)에서 각각 교수를 역임하였다. 작업에 전념하기 위해 1982년에는 교수직을 그만두고 전업작가의 길로 들어섰으며 1983년에는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이 되었다. 박노수는 한국화의 정체성을 모색하던 해방 후 화단의 움직임 속에서 절제된 색채와 간결한 선묘로 채색과 수묵을 융합시킴으로써, 전통 속에서 현대성을 구현해낸 작가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