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노 음악의 역사를 논할 때 빠질 수 없는 작곡가이자 연주자가 쇼팽과 리스트이다. 쇼팽은 ‘피아노의 시인’이라는 별명답게 낭만적이고 섬세한 피아니즘을 선보였고, 리스트는 스케일이 크고 강렬한 테크닉을 지닌 스타일의 소유자였다. 19세기에 리스트의 피아노 연주 실력은 전 유럽을 호령할 정도로 대단한 것이었다. 리스트의 연주는 악마적이고 뛰어난 기교의 폭풍이었다.
리스트는 지그문트 탈베르크나 알렉산더 드레이쇼크와 같은 당대 최고의 연주자들과 경쟁하며 연주 난제들을 해결하고, 모든 기교를 완전히 마스터해 대 피아니스트의 지위에 올라섰다. 또한 잘생긴 외모와 실력으로 그의 연주장에는 언제나 여인들의 열광적인 환호가 끊이지 않았다고 한다.
피아노 이외에도 리스트는 바그너와 함께 ‘신독일음악’(Neudeutsche Schule)을 주장하며 고전주의에 반기를 든 낭만주의의 새로운 음악을 창작하는 데 일조했다. 교향시라는 장르를 만들어냈고 독일 고전음악을 개혁하는 데 앞장섰다. 리스트의 새로운 음악은 20세기 현대음악에도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가져왔다.
“피아노의 파가니니가 되겠다”
프란츠 리스트는 헝가리 라이딩 근처의 한 마을에서 태어났다. 6살 때 아버지에게 처음으로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했다. 빈으로 유학 가 살리에리에게 작곡을 배웠고, 베토벤의 제자 카를 체르니에게 피아노를 사사했으며 12살에 첫 공식적인 무대에 데뷔했다. 1823년 파리로 옮겨간 리스트는 그 다음 해부터 대위법을 비롯한 본격적인 작곡 공부를 시작했지만 곧 아버지의 갑작스런 죽음에 큰 실의에 빠지게 된다. 당시 리스트는 피아니스트보다도 성직자가 되고 싶다는 꿈도 갖게 되었다(이 꿈은 말년에 이루어진다). 그러나 아버지의 죽음으로 리스트는 음악 인생에 있어 중대한 결심을 하게 된다.
파리에서 어머니와 함께 피아노 레슨으로 어려운 생활을 꾸려 나가고 있을 때, 그는 우연히 천재 바이올리니스트 파가니니의 연주회를 보게 된다. 1832년 4월 20일 파가니니는 콜레라로 죽은 파리 시민들을 추모하는 콘서트를 열었다. 전 유럽에 바이올린 연주로 엄청난 센세이션을 일으키고 있던 귀재 파가니니는 광기에 찬 귀신같은 연주를 들려주었고, 그 연주에 완전히 홀린 리스트는 ‘피아노의 파가니니’가 되려고 마음먹는다.
이후 리스트는 매일 10시간이 넘도록 피나는 피아노 연습을 했다고 한다. 이때를 전후로 리스트의 피아노 연주 스타일도 크게 바뀌었다. 이전에는 정확한 템포와 스타일을 중요시하는 훔멜과 체르니의 영향을 받은 빈 스타일의 피아니즘을 선보였지만, 비르투오소가 되기로 결심한 이후로는 스케일이 크고 위풍당당한, 연주효과가 큰 스타일로 변모했다. 위대한 비르투오소의 탄생의 서막이다.
1842년 베를린에서 열린 리스트 콘서트를 묘사한 삽화. 잘생긴 리스트의 경이적인 연주에 열광하는 부녀 청중들이 꽃을 던지고 손수건을 흔드는 등 열광적으로 환호작약하고 있다.
‘파가니니에 의한 대연습곡’의 3번곡
리스트의 <파가니니에 의한 대연습곡>은 모두 6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파가니니의 <24개의 카프리스>를 피아노로 새롭게 편곡한 작품이다. 1번 C단조 트레몰로는 카프리치오 6번, 2번 E플랫장조 안단테 카프리치오소는 카프리치오 17번, 3번 ‘라 캄파넬라’는 B단조 7번 바이올린 협주곡, 4번 E장조 아르페지오는 카프리치오 1번, 5번 E장조 ‘사냥’은 카프리치오 9번, 6번 A단조 주제와 변주는 카프리치오 24번을 기본으로 삼아 작곡한 곡이다.
이 6개의 곡 중 가장 유명한 것이 3번 ‘라 캄파넬라’이다. 지금도 뛰어난 피아니스트들이 자신의 초인적인 기교를 자랑하기 위해 연주회 레퍼토리로 자주 연주하고 있는 곡이기도 하다. ‘라 캄파넬라’는 종을 뜻하는 말이다. 피아노의 고음부가 종소리를 드라마틱하게 묘사하고 있으며, 멀리서 또는 가까이서 들려오는 종소리와 그 울림, 분위기를 피아노의 화려한 기교를 통해 탁월하게 묘사한다. 클라이맥스의 웅장한 피아노 음향과 과감한 공격성, 고음부의 섬세하면서고 가냘픈 종소리 묘사가 서로 효과적으로 어우러지며 매력적인 감흥을 만들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