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산책

드뷔시 ‘12개의 연습곡’(Debussy, 12 Études)

라라와복래 2018. 7. 12. 17:00

Debussy, 12 Études

드뷔시 ‘12개의 연습곡

Claude Debussy

1862-1918

Mitsuko Uchida, piano

Studio recording, London

1989.04


Mitsuko Uchida - Debussy, 12 Études


근대적 의미에서의 피아노 연습곡 장르는 19세기에 접어들면서 악기의 발전과 더불어 발전하기 시작했다. 이들 연습곡은 음계, 아르페지오, 트릴, 3도 음정, 옥타브, 병행 화음 등을 중점적으로 연습하기 위한 것으로, 테크닉의 관점에서는 보다 복잡하고 난해해졌지만, 형식의 관점에서는 역설적으로 보다 간결하고 단순해졌다는 것이 특징이다. 손가락들의 전무후무한 훈련을 통해 불가능을 가능케 하는 고도의 테크닉이 발전해 나간 반면, 음악의 구조는 대개의 경우 2부 형식과 단순한 멜로디라인을 추구했기 때문이다.

이와 동시에 연습곡은 이를 연주하는 계층에 따라 애호가나 초보자를 위한 일반적인 작품과 전 세계에서 대여섯 명 정도밖에 연주할 수 없을 정도의 테크닉과 음향효과를 염두에 둔 작품으로 나뉘기 시작했다. 전자의 경우에는 체르니와 훔멜, 슈타이벨트, 클레멘티, 하농 같은 작곡가들이 속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리스트와 쇼팽으로 이어지는 비르투오소 작곡가들이 속한다.

20세기 초반 프랑스의 작곡가 클로드 드뷔시에 이르러 연습곡은 절정에 이룬다. 그는 형식과 구조에서는 전통을 훌륭하게 계승, 발전시키는 동시에, 목적에서는 프로 연주자들과 초보자 사이의 격차를 없애면서 누구에게나 피아노를 전혀 새로운 방식으로 연습하도록 의도했다. 더 나아가 낭만주의 시대의 양식과 정서에 마침표를 부여했을 뿐만 아니라 많은 20세기 작곡가들에게 연습곡의 현대음악적 가능성을 열어준 창문이기도 했다.

세기말과 신세기를 위한 연습곡의 탄생

1915929일 프랑스의 디에프 인근의 푸르빌이라는 곳에서 완성된 드뷔시의 연습곡은 6곡씩 2, 모두 12곡으로 구성된 작품으로 쇼팽에게 헌정되었다.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이후 잠시 시간을 보낸 뒤부터 드뷔시는 다시금 창작의 에너지에 휩싸일 수 있었는데, <12개의 연습곡>을 포함하여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흑건과 백건> 및 세 개의 소나타를 남길 수 있었다. 당시 드뷔시는 무엇인가 더 새로운 어떤 것, 즉 표현양식의 혁신적인 전환을 의도했다. 다시 말하자면 음악의 가장 기본적인 속성, 즉 소리 자체의 아름다움을 다시금 찾아내 그 안에 내재되어 있는 엄청난 감수성의 깊이를 탐구하고자 한 것이다. 1915년 초반의 수개월 동안 쇼팽의 연습곡을 탐구한 끝에, 자신의 생각을 쇼팽에 투영시킨 연습곡을 완성할 수 있었다. 클로드 드뷔시는 현대음악의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19158월 드뷔시는 출판업자에게 자신의 연습곡을 하모니의 꽃다발 밑에 준엄한 테크닉을 숨기고 있는작품이라고 소개하며, 핑거링을 제시하지 않은 것에 대하여 우리의 오래된 하프시코드의 거장 역시 동시대인들의 현명함을 고려하여 핑거링을 지시하지 않았다라고 해명했다. 이 하프시코드의 거장은 바로 프랑수아 쿠프랭을 가리키는 것으로 본래 쇼팽이 아니라 그에게 작품을 헌정하고자 했다. 두 권의 연습곡은 1916년에 출판되었고 그가 지시해 놓은 연습 대상, 3, 4, 6, 옥타브, 아르페지오 등과 결부되어 있는 화성과 음색의 관계는 피아노 테크닉의 새로운 화두로 떠올랐다.

19161214일 미국의 피아니스트인 월터 럼멜(Walter Rummel)에 의해 초연되었는데, 작품의 현대적인 성향과 난해한 기법 덕분에 콘서트 피아니스트들에게 곧바로 사랑받지는 못했다. 1930년대 위대한 프랑스 피아니스트이자 교수인 알프레드 코르토(Alfred Cortot)에 의해 비로소 이 작품이 단순한 피아노 연습을 위한 곡이 아님이 밝혀졌지만, 단 두 곡만을 분석한 탓에 드뷔시의 혁신적인 작곡 기법이 완벽하게 이해되지는 못했다. 이후 올리비에 메시앙(Olivier Messian)이 파리 음악원에서 행한 전설적인 작품 분석 클래스를 통해 이 작품이 드뷔시 피아노 예술의 절정을 이룬 말년의 걸작임이 밝혀졌다.

현대적인 아름다움과 급진적인 폭발력에 대한 은유적 묘사

기존의 연습곡들은 테크닉 그 자체, 혹은 연주 효과의 극대화를 위하여 작곡되었지만, 드뷔시의 경우는 테크닉은 물론이려니와 음색과 음향에 대한 새로운 발견을 연습하기 위한 작품이라는 것이 특징적이다. 특히 메시앙이 언급한 색채에 대한 특이한 사랑을 이 연습곡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는데, 이는 건반을 지배하는 엄청난 기교 뒤편에 숨겨져 있는 신비로운 추상성의 영역에서 비롯한다.

조성적인 논리에서 떨어져 나온 새로운 화성법과 낯선 느낌을 주는 새로운 선율, 운율적이며 유연한 프레이징, 무한한 음향을 새롭게 조합하고자 한 진취적인 착상, 형식면에서의 새로운 자유로움 등을 통해, 드뷔시는 신비스러운 것에 대한 선호와 세련된 박취(剝取), 지속적인 암시와 불연속적인 유동성, 반어적인 표현 등을 그려내고자 했다. 소우주적인 수준에서 대우주적인 수준에 이르기까지, 세포의 수준에서 구조나 형식의 수준에 이르기까지, 드뷔시의 연습곡은 단순히 연습곡의 차원을 뛰어넘어 피아노라는 악기에 대한 인식 자체를 새로이 변화시킨 혁신적인 작품이다. 드뷔시의 이러한 급진적인 개념은 피에르 불레즈(Pierre Boulez)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정당하게 평가될 수 있었다.

1(Premier Livre)

3, 4, 6, 여덟 손가락, 옥타브, 빠른 스케일 등의 손가락 기교를 강조한 연습곡으로 교육적 목표가 강하게 드러난다.

I. 5개의 손가락을 위하여, 체르니에 의거하여 (Pour les cinq doigts: d'après Monsieur Czerny)

첫 마디의 왼손은 체르니의 연습곡에서 흔히 들을 수 있는 부분으로 옛 거장에 대한 존경을 담은 오마주라고 볼 수 있다. 몇 차례 동기가 반복한 뒤 갑작스러운 멈춤과 복조성의 기운이 신비로운 느낌을 주는데, 조성은 강조되는 동시에 파괴되기도 한다.

II. 3도를 위하여 (Pour les tierces)

전통적인 3도 병행으로 시작하며 새로운 음향과 배열 방식을 실험한다.

III. 4도를 위하여 (Pour les quartes)

드뷔시가 즐겨 사용하던 음정이 바로 4도로서, 음절마다 끊어져 연주되는 소리를 통해 당혹스러울 정도의 새로운 음향효과가 인상적이다. 교회선법과 온음계도 엿보인다.

IV. 6도를 위하여 (Pour les sixtes)

신중하고 명상적인 시작부와 고통에 가까운 듯한 발전을 거치며 활성화한다.

V. 8도를 위하여 (Pour les octaves)

교차리듬과 옥타브가 섞인 왈츠의 화음을 통해 유쾌함과 양식적인 자유로움을 표현한다.

VI. 8개의 손가락을 위하여 (Pour les huit doigts)

전적으로 음색을 위한 연습곡으로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여덟 손가락의 균일하면서도 통제된 진행을 통해 음색의 다양한 변화를 경험할 수 있다.

2(Deuxième Livre)

반음계, 꾸밈음, 화성의 울림과 음색, 음량의 탐구와 같은 새로운 문제들을 직접적으로, 혹은 우회하여 보여준다.

VII. 반음계를 위하여 (Pour les degrés chromatiques)

저음의 스타카토와 신비스럽게 표류하는 듯한 단편적인 테마들이 대위법적으로 처리된다.

VIII. 꾸밈음을 위하여 (Pour les agréments)

수직 또는 수평의 음뭉치(tone cluster)의 구축과 강도의 내적인 분할이 시도되는 곡으로서, 하프시코드와 관련된 전통의 희화적 모습들이 드뷔시의 천재적인 상상력을 통해 펼쳐진다.

IX. 반복음을 위하여 (Pour les notes répétées)

불확실한 조성을 바탕으로 토카타 풍의 화려함이 묵직하면서도 희화적으로 펼쳐진다.

X. 대비적인 음향을 위하여 (Pour les sonorités opposées)

뉘앙스의 강약 및 템포의 대위법을 통해 밝고 어두운 음향의 대비를 만들어낸다. 특히 다양한 음색이 형성하는 폴리포니에 몰두함으로써 음역, 강도, 어택이 음악적 공간 속에 신선한 방식으로 펼쳐져 있다.

XI. 조립된 아르페지오를 위하여 (Pour les arpèges composés)

여섯잇단음표의 아르페지오가 펼쳐지며 섬세하게 다듬어진 무지갯빛 음색의 아라베스크가 인상적이다.

XII. 화음을 위하여 (Pour les accords)

마지막으로 작곡된 곡은 아니지만 드뷔시의 의도에 따라 마지막에 배치된 이 곡은, 첫 부분과 마지막 부분에 등장하는 고집스러운 집요함에서 기인하는 공격성과 환상적인 중간 부분에서 등장하는 주술적이고도 신비스러운 몽환성이 충돌하며 불안함을 생성해내는 직설적인 표현력이 압권이다.

Debussy, 12 Études

Maurizio Pollini, piano

Wien, 1986.06.06

추천음반

드뷔시의 <연습곡>은 작품 자체의 현대성 때문에 이전 시대의 연주가들보다는 현대 연주가들에게 그 가치가 뒤늦게 발견되어 녹음이 이루어지고 있다. 게다가 테크닉 상의 난해함이 더해져 이를 녹음하는 연주자들은 극히 드문 편이다.

1. 마우리치오 폴리니의 연주(DG)는 가장 정석적인 해석과 모던한 스타일을 보여준다. 시대를 초월하는 명연으로 손꼽힐 만하다.

2. 미츠코 우치다의 연주(Philips)는 음색과 구조에 대한 새로운 탐구를 보여준 훌륭한 연주로 평가할 만하다.

3. -이브 티보데의 연주(DECCA)는 낭만적인 색채감과 환상적인 볼륨감이, 피에르-로랑 아이마르의 연주(Warner)는 새로운 음향 구축력과 신선한 표현력을 보여준다.

박제성 (음악 칼럼니스트) 클래식 음악 전문지 <음악동아>, <객석>, <그라모폰 코리아>, <피아노 음악>과 여러 오디오 잡지에 리뷰와 평론을 써 왔으며, 공연, 방송, 저널 활동, 음반 리뷰, 음악강좌 등 클래식 음악과 관련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현재 서울문화재단 평가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출처 : 네이버캐스트>음악의 선율>클래식 명곡 명연주 2011.03.16.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1273&cid=59000&categoryId=5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