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산책

시에 대한 각서 - 이성복

라라와복래 2013. 5. 1. 10:04

 

시에 대한 각서

이성복

고독은 명절 다음날의 적요한 햇빛, 부서진 연탄재와 삭은 탱자나무 가시, 고독은 녹슬어 헛도는 나사못, 거미줄에 남은 나방의 날개, 아파트 담장 아래 천천히 바람 빠지는 테니스 공, 고독은 깊이와 넓이, 크기와 무게가 없지만 크기와 무게, 깊이와 넓이 지닌 것들 바로 곁에 있다 종이 위에 한 손을 올려놓고 연필로 그리면 남는 공간, 손은 팔과 이어져 있기에, 그림은 닫히지 않는다 고독이 흘러드는 것도 그런 곳이다

출전: <래여애반다라>(문학과지성사)

 

시집 <래여애반다라>에서 옮겼다. ‘래여애반다라(來如哀反多羅)’는 향가 ‘풍요(風謠)’의 한 구절로 ‘오다, 서럽더라’란 뜻의 이두(吏讀: 한자를 사용해서 한국어를 표기하는 방식)란다.

고독은 공기 같은 것. 내 코밑에도 있고 냉장고 옆에도 있고 화장실 문짝 앞에도 있다. 햇빛에도 있고 그늘에도 있다. 사방에 고독이 있다. 거미줄에도 있고 거미줄에 얹힌 먼지에도 있고, 삭은 탱자나무 가시에도 있고 싱싱한 탱자나무 가시에도 있다, 가시가 아니라 가시 둘레, 그 공간에 고독이 웅성거린다. ‘고독은 깊이와 넓이, 크기와 무게가 없지만’, 추상적인 것이어서 만질 수 없지만, 느낄 수 있다. 이러한 고독이 흘러들어가 가없는 깊이가 되는 게 시라고, 시 제목이 ‘시에 대한 각서’다. 원초적 고독감을 시의 출발점으로 삼는 게 이성복의 힘이다. 그의 비장한 각오에 나도 초발심을 살리리라 다짐한다. 시인으로서 느슨해진, 태만해진 자신을 깨달을 때의 고독감!

나는 앞발과 다름없이 손이 무뎌, 그림 그리기는 ‘그림의 떡’이라 여겨왔다. 어렸을 때 도화지에 손바닥을 쫙 펴서 올려놓고, 본을 따 선을 긋고 나서 들여다보던 기억이 난다. 손 모양 그대로 그렸네! 볼수록 흐뭇하고 신기해서 한동안 스케치북이고 신문지고, 종이만 보면 손을 그려댔었다. 그러면서도 아둔한 나는 그림이 닫히지 않는다는 걸 깨닫지 못했지! 그 닫히지 않은 곳으로 무언가 저릿하게 흘러들어 온다. 보이지 않는 세계로 사라진 것이 손인지 지금 저릿한 팔인지 모르겠다.

문학집배원 황인숙

 

이성복 1952년 경북 상주에서 태어나 서울대 불문과와 같은 과 대학원을 졸업했다. 1977년 겨울, 시 ‘정든 유곽에서’를 <문학과지성>에 발표하며 등단했다. 시집으로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 <남해 금산> <그 여름의 끝> <호랑가시나무의 기억> <아, 입이 없는 것들> <달의 이마에는 물결무늬 자국> 등과 산문집으로 <네 고통은 나뭇잎 하나 푸르게 하지 못한다> <오름 오르다> <타오르는 물> 등이 있다.

낭송 김형석 배우. 연극 <블랙박스>, 뮤지컬 <천상시계> 등에 출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