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 살로메 - 세기적 지성들의 영혼의 뮤즈 세기적 지성들의 영혼의 뮤즈 루 살로메 Lou Andreas-Salomé 1861-1937 니체와 릴케의 연인, 세기적 사상가와 시인의 창작 혼을 자극한 영혼의 뮤즈, 화려한 남성 편력의 팜 파탈, 우리에게 알려져 있는 루 살로메의 모습은 대충 이렇다. 그러나 이는 그녀의 한 부분일 뿐이다. 루 살로메는 소.. 인문학 산책 2014.09.16
50년간 다른 개를 따라서 짖다(隨吠前犬 수폐전견) - 신정근ㅣ성균관대 동양철학과 교수 50년간 다른 개를 따라서 짖다 수폐전견(隨吠前犬) 명나라 이탁오는 자신의 오십 인생을 굽어보면서 스스로 개라고 자평했다. 다른 개가 짖으면 따라 짖는 개처럼 진리를 이해하지 못하면서도 그대로 믿어 왔던 스스로를 비판한 것이다. 명나라의 국민교육헌장 ‘육유(六諭)’ 명나라는 .. 인문학 산책 2014.08.26
로자 룩셈부르크 - 불세출의 여성 혁명가 불세출의 여성 혁명가 로자 룩셈부르크 Róża Luksemburg 1871-1919 “인간다움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일이에요. 그것은 확고하고 명쾌하며 명랑하다는 것을 의미하지요. 그래요. 무슨 일이 있더라도 명랑하다는 것을요. 흐느끼는 것은 약하다는 표시예요. 인간답다는 것은, 꼭 그래야 한.. 인문학 산책 2014.08.12
‘신비주의’란 무엇인가? (2) - 신비주의의 역사와 의미 ‘신비주의’란 무엇인가? (2) ―신비주의의 역사와 의미 이전 글 <신비주의란 무엇인가?>(1)에서 설명한 신비주의를 둘러싼 여러 오해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공통적으로 발견된다. 이번 글은 그런 오해들을 역사적인 맥락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여러 오해가 신비주의가 발전해 온 역.. 인문학 산책 2014.08.05
‘신비주의’란 무엇인가? (1) - 신비주의 개념을 둘러싼 오해와 그 이유 ‘신비주의’란 무엇인가? (1) ―신비주의 개념을 둘러싼 오해와 그 이유 미국의 작가 고어 비달(Gore Vidal, 1925-2012)은 소설 <율리아누스>에서 로마 황제 율리아누스의 체험을 아래와 같이 묘사한다. “날이 질 무렵 나는 다시 태어나 동굴 밖으로 비틀거리며 나왔다. 그때 그 일이 일어.. 인문학 산책 2014.08.05
모두가 깨달은 사람이 되게 돕겠다(地獄未空 誓不成佛 지옥미공 서불성불) - 신정근ㅣ성균관대 동양철학과 교수 모두가 깨달은 사람이 되게 돕겠다 지옥미공 서불성불(地獄未空, 誓不成佛.) 붓다 상 앞에서 기도하고 있는 승려의 모습 무아(無我) 현대인은 흔히 자신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말로 ‘자아(自我)’, ‘주체(主體)’를 즐겨 쓴다. 우리는 “자아를 찾는 여행에 나서서” 많은 체험을 한 끝에.. 인문학 산책 2014.07.25
“이 또한 즐겁지 않은가!”(不亦快哉 불역쾌재!) - 신정근ㅣ성균관대 동양철학과 교수 “이 또한 즐겁지 않은가!” 불역쾌재(不亦快哉!) <삼국연의(三國演義)>에 사용된 삽화. 사대기서(四大奇書) 교과서에는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학교에서 수업을 할 때 쓰는 교재이고, 다른 하나는 특정 시대를 살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읽는 ‘인생 교과서’이다. 종이와 전자책의 .. 인문학 산책 2014.07.05
네 가슴의 노래를 맘껏 불러라(독서성령獨抒性靈) - 신정근ㅣ성균관대 동양철학과 교수 네 가슴의 노래를 맘껏 불러라 독서성령(獨抒性靈) 세월호 사고 후 구조 작업이 진행 중인 현장 세월호 침몰과 동양 철학 4월 16일 세월호 침몰 사고가 일어나자 사람들은 처음에 사고 소식이 믿기지 않았다. 첨단 과학의 21세기에 그런 일이 일어나리라 상상조차 못했던 것이다. 사고의 원.. 인문학 산책 2014.07.03
하늘은 왜 무너지지 않는가(杞人憂天. 기인우천) - 신정근ㅣ성균관대 동양철학과 교수 하늘은 왜 무너지지 않는가 기인우천(杞人憂天) 인류의 멸망을 가져올 수 있는 지구와 혜성의 충돌을 다룬 영화 <딥 임팩트> 중 한 장면. 쓸데없는 걱정(?) 기우(杞憂)를 사전에 찾아보면 ‘쓸데없는 걱정’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그런데 아무리 글자를 들여다보아도 ‘기우’와 ‘쓸.. 인문학 산책 2014.03.05
너는 너고, 나는 나다(爾爲爾, 我爲我. 이위이, 아위아) - 신정근ㅣ성균관대 동양철학과 교수 너는 너고, 나는 나다 이위이, 아위아(爾爲爾, 我爲我) 책을 들고 있는 맹자의 모습. 맹자와 닮은꼴은 돈키호테? 춘추전국시대의 맹자와 닮은 인물을 서양문학에서 찾는다면 누구일까? 나는 세르반테스의 소설 <돈키호테>의 주인공 ‘돈키호테’가 ‘맹자’와 꽤나 비슷하다고 생각.. 인문학 산책 2014.02.16